문의 사항

컴퓨터/노트북 전원을 켜면 시작이 안되고 BitLocker 복구 키를 입력하라고 합니다. 

 

 

해결책

BitLocker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하드디스크 암호화 기능이며, 이 보안 기능 설정된 경우에 TPM 초기화 , BIOS보안 초기화 , 메인보드 교체 등으로 인해 복구키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

 

1. 시작할 때 BitLocker복구 화면이 표시된 경우, 복구키 확인이 필요합니다.

[참고][BitLocker 설정 과정: 복구 키 백업 방식]

 

2. BitLocker 설정 단계에서 저장한 방식에 따라 복구키를 확인해주세요.

[주의]복구키를 찾지 못하거나 분실한 경우는 데이터에 영구적으로 접근이 어렵습니다.

데이터가 중요하지 않는 경우 윈도우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.

데이터가 중요한 경우 절대 윈도우 재설치를 하시면 안됩니다.

 

+ Microsoft 계정에 저장(M)

 

1. 다른 PC 혹은 스마트폰으로 BitLocker복구키 로 이동합니다

 

2. Microsoft 계정 로그인 합니다.

 

3. 성공적으로 로그인 되었을 경우 아래와 같이 [키 ID] 및 [복구 키] 확인 이 가능 합니다.

 

[참고] [키 ID]는 부팅할 때 표시된 복구 키 입력 화면에서 복구ID의 첫번째 8자리입니다. 

 

 

+ 파일에 저장(F)

1. 복구 키가 저장된 USB메모리(또는 SD카드)나 복구키를 다른 PC에 연결합니다.

 

2. 키보드에서 [윈도우 로고 키] 와 [E]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[윈도우 탐색기]를 실행합니다.

 

3. 연결된 USB메모리(또는 SD카드)를 선택하고 [BitLocker 복구 키]로 시작하는 텍스트 파일을 찾아 실행합니다.

 

4. 파일 내용에서 [식별자]가 로그인 화면에 표시된 키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[복구 키]항목의 키를 메모합니다.

 

 

+ 복구키 인쇄(P)

 

이 방식으로 저장한 경우는 실제 프린터를 통해서 복구키가 종이로 출력됩니다.

이전에 출력된 복구키 문서를 찾아 [복구 키]항목의 값을 메모합니다.

 

 

+ 회사 또는 학교 컴퓨터인 경우

 

회사 또는 학교에서는 조직 계정(도메인 계정)을 사용하므로 BITLOCKER가 설정된 경우

해당 조직의 계정 서버에서 복구키를 재발급하거나,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조직(회사, 학교) IT부서(또는 헬프 데스크)에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3. 확인된 복구키를 아래의 입력 화면에 표시될 때 입력을 하시고 [Enter]키를 입력합니다.

 

4. 복구 키가 일치하면 윈도우 바탕화면으로 부팅 됩니다.

 

5. BitLocker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아래의 bitlocker비활성화 작업을 진행 하세요.

+ BitLocker 비활성화 방법

1.바탕화면 왼쪽 밑에 검색에 [bitlocker]를 입력하고 검색하여 나온 [BitLocker 관리]를 선택합니다.

 

2. 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 창이 표시되면 BitLocker가 설정된 드라이버에 [BitLocker 끄기]를 선택합니다.

 

3. BitLocker끄기 창이 표시되면 [BitLocker끄기]를 선택합니다.

 

4. [BitLocker 암호 해독 중]이라고 표시되면 기다려 주셔야 합니다.

디스크 드라이버 전체의 데이터를 해독하므로 저장 미디어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

짧게는 30분에서 몇시간까지(4시간 이상)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.

 

⇡